반응형

 

 

1위로 향하는 길은 참 쉽지 않은 것 같다. 강등권에서 헤매고 있는 에버튼에게 패배할 줄이야.

이게 프리미어리그의 묘미이기도 하지만, 아스날팬으로서는 당장에라도 1승을 더 거두고 치고 나가고 싶은 마음에 찬물을 제대로 뿌리는 일이였다.

 

람파드가 경질되고 새로운 감독으로 바뀌고 반등의 기회가 필요했던 에버튼에게는 정말이지 너무 좋은 기회였고, 그것을 승리로 잘 가져갔다.

아스날의 경우 맨유전 부터 예상이 되어왔던 거지만, 몇몇 선수들의 페이스와 경기력이 정상적이지 않다고 생각을 했다. 그중에서 몇몇을 꼽자면, 화이트와 자카 그리고 마르티넬리다. 경기력이 너무 안좋다.

전반전에는 경기 전체를 마르티넬리와 자카가 말아 먹었다. 미드필더라인에서 진첸코가 경기를 풀기 위해서 전진 패스를 앞으로 잘 뿌려댔지만, 마르티넬리와 자카가 자꾸 패스미스를 엄청 해대면서 경기를 말아먹었다. 자연히 선수들도 그쪽으로 공을 주기 보다는 사카에게 오른쪽으로 패스가 몰리는 상황이 발생했다.

 

그리고 전방압박을 시도하던 아스날의 게임 플레이가 제대로 연출이 되지 않았다. 상대방 선수들이 그렇게 되면서 1대1 피지컬 싸움을 시도하면서 아스날 선수들을 압박하고 공격을 진행하기 시작했다. 그렇게 게임이 에버튼이 의도하는대로 풀리면서 전반내내 아스날은 역습을 당하는 형태에서 사이드 크로스에 의한 마무리를 시도하려는 에버튼의 공격에 고전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게임이 잘 안풀리는건 시즌 초반 처럼 팀 전체 레벨에서 상대방을 압박하고 공을 탈취해서 공격으로 전환하는 게임 운영을 전혀 못했다. 그러기에서는 선수들의 체력이 떨어졌고, 공격이나 게임의 주도권을 유지하는 상황에서 패스미스가 너무 많이 났다. 그리고 에버튼 선수들의 감독경질이라는 승리에 대한 강한 동기부여가 같이 결부 되면서, 피지컬적인 적극적인 공세에 아스날 선수들이 말려들고 말았다.

 

전반의 경기 내용을 봤을 때는 아르테타가 선수교체를 빠르게 단행 할 것이라고 예상했고, 그 선수 교체 대상이 자카와 마르티넬리일거라고 생각했는데, 토마스 파티가 나가는 것을 보면서 힘들겠다고 생각을 했다. 전체적으로 피지컬 진흙탕 게임으로 번져가는데, 파티를 뺀다니요!!!

조르징요의 플레이스타일과 롤이 파티와 흡사해서 이겠지만, 거기에 조르징요는 아니라는 생각이 경기후에 더더욱 들게되었다. 조르징요의 수비력은 글쎄요? 라는 수준이라서, 수비수 앞에서 공을 긁어담고 아스날의 공수양면에서 안정감을 주는 역활로는 절대 부적합하다는 생각이다.

자카의 대체라면 그래도 나을 것 같은데, 엄청난 압박을 견뎌내면서 견제를 하고 공을 딜리버리하거나 차단 해야하는 상황에서는 절대 조르징요는 아니다.

트로사의 경우는 교체가 잘되어서, 마르티넬리와는 다르게 많은 찬스와 코너킥을 만들어냈다.

확실히 아쉬운건 교체 타이밍이 늦고, 대상 선수가 맞지 않다는 생각을 했다.

 

그러면서 에버튼은 코너킥을 얻고 피지컬로 밀고 들어와서 헤딩골을 넣었다.

여기서 부터는 아스날이 오버페이스를 하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한골 정도는 기대 해보지 않을 수 있을까? 했는데.. 에버튼 강력한 수비와 함께 진흙탕식 축구에 완전히 말렸다.

 

경기가 끝나고 패배는 아쉬었고, 이건 절대적인 선수선발과 교체에 결정권이 있는 아르테타의 실수가 아니였나? 라는 생각을 하게되었다. 쉽게 교체하지 못했던건 페이스가 떨어진 선수들이 보이지만 내가 시즌 초반 부터 잘해왔던 스타팅 그리고 선발 선수들인데 라는 미련 같은게 있었던게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든다. 확실한건 지금 체력이 떨어지는 시기고 1위가 확정적인 상태도 아니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서 선수단의 관리와 함께 선수교체와 선발을 어떻게 하느냐가 가장 중요한 감독의 역량으로 나타나는게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한다.

 

이 위기를 아트테타와 아스날 선수들은 어떻게 넘길지가 궁금해진다.

 
 
 
 
 
 
 
 
 
 
 
 
 

 

 

반응형
반응형

오~ 드디어 첫경기가 열린다.
나는 대한민국이 2실점으로 패할것이라고 예상을 한다. 일단 우루과이 전력을 몰라서 확실하다고 말을 할수는 없다. 하지만 한국이 가지고 있는 전력적인 실력이 우루과이 보다는 위라고 생각하지 않아서 패배에 힘을 실었다.

전술적인면에서 보자면, 우리는 어떤 플랜을 가지고 싸우게 될것인가? 이부분이 굉장히 궁금하다. 사우디와 일본은 전반 시작부터 상대보다 약하기에 수비적인면에 더 집중하고 힘을 기울여서 게임이 상대방의 의도대로 쉽게 흘러가지 않게 집중해서 경기를 했다. 재미있는건 그럼에도 전반에 실점을 했다. 그리고 드라마 같은 역전승으로 게임을 승리로 이끌었다. 초반의 대한민국 대표팀이 어떤 전술을 가지고 나왔을지에 대한것, 그리고 승리하고 있을 때, 비기고 있을 때, 지고 있을 때 벤치에서 벤투가 어떤 교체 카드를 가지고 공격적으로 또는 수비적으로 선수들에게 전술을 내리고 선수들이 얼마만큼 거기에 따라 줄지가 의문이다.

두번째는 첫 경기를 얼만큼 빨리 적응하고 월드컵이라는 무대에서 본인의 기량을 펼쳐낼수 있느냐이다. 중압감이나 압박감 압도되는 월드컵이라는 분위기에서 많은 팀들이 첫경기에서 팀의 실력 그대로를 빠르게 보여주지는 못했던 것 같다. 한국팀이 그러한 부분에서 얼만큼 빠르게 극복하고 우르과이를 상대 할 수 있을까?

세번째 손흥민의 출전 여부와 함께 얼마나 좋은 컨디션으로 상대방 수비를 공략이 가능한가에 있다. 일본이나 사우디를 봐서도 위력적인 공격수의 공격으로 상대방 골문을 가르고 득점을 하는 장면들을 보면 좋은 공격수의 필요는 여러번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다. 손흥민이 중간에 나간다면, 그리고 손흥민이 못 나온다고 해도 문제다..중간에 제대로 뛰지 못해도 문제고, 손흥민의 득점력 상대방을 위협할수 있는 능력이 제대로가 아니면 의미가 없을 것 같다.

네번째, 한국팀의 수비력이 얼마나 상대방을 제어 할 수 있는 가에 실제적인 영향력이 궁금하다. 사우디도 일본도 혼자서 수비를 하기에는 부족하기에 가운데를 강하게 걸어 잠그고, 상대방을 차단하고 기회를 엿보다가 경기를 승리로 가져갔다.  한국의 수비수들이 보여주는 수비력이 매우 심각하게 좋지 않기 때문에 1대1 매치가 되었을때 한국이 동료들과 함께 팀 단위의 협력수비로 상대방의 공격을 잘 막아낼지가 궁금한 부분이기도 하다.

다섯번째는 경기의 흐름이 90분이라는 부분에서 과연 한국 선수들은 얼마나 90분동안 위기를 막아내고 기회를 잡아내는 90분동안의 경기흐름을 이어갈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다. 보통 항상 경기를 보면 전반에 초반에 모든 기운을 쏟아내고 장렬하게 후반에 갈수록 쳐맞으면서 전사하는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이게 가장 걱정이긴하다. 항상 큰 대회와 경기에서 이런 실수들을 한다는 느낌을 지울수가 없다.

불확실한건 우루과이를 전력을 모르기 때문에 특정한 예상을 할수 없지만, 현재로서는 한국이 2실점으로 질것 같다는 예상만 할수 있을 것 같다. 우루과이가 강하다고 하더라도 한국선수들이 잘하면 이길수 있겠지, 공은 둥글고 한국에게 우루과이 골대에 공을 넣을수 있는 가능성은 항상 있으니까 말이다. 과연내가 생각하는 부분들이 어떻게 나타날지가 이 게임을 보게 만드는 궁금증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