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테스트 제품으로 리뷰 했던 영상 입니다. 실제 제품은 제가 리뷰한 제품과 다릅니다.

 

판매전 프로토타입의 시제품과 실제 나온 제품을 보고서는 제품을 참 잘 만드는다는 생각을 한번하고, 일본에서는 이렇게 터프화가 많이 나오는데 굉장히 각양각색에 특징들이 다른거 보면, 대단하고 독특하기도 하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사람도 동물도 큰 종이라는 구분에서는 같지만, 개체의 성격이나 성향 다른 것들이 나타나는 것 처럼 이렇게 다양하게 하나의 터프화에서 여러 성향의 제품들이 나오는게 대단하기도 하고 부럽기도 하다. 일본 옆에 살아서 좋은 점 중 하나가 아닐까?

 

c3,a005,캐피턴 제품을 세가지의 특색이 매우 다르다고 생각한다. 가장 대중적인건 c3를 꼽고 싶고 1티어를 주고 a005도 나쁘지 않지만 완전 좋다는 입장은 아니다. 캐피턴은 1티어 드리고, 신었을 때 인상적인 부분들이 있다. 

 

처음 신발을 받아서 시제품을 신었을 때는 코파문디알을 신는 느낌의 클래식 가죽 축구화의 완벽한 이식이였다고 생각했다. 갑피의 캥거루와 중족부의 인조가죽의 절묘한 밀착감을 형성 시켜서 제품 자체가 매우 편하게 느껴졌다. 아마도 시제품이 사이즈가 내 발보다 커서 더 편하게 느껴졌던것 같다. 실제 나온 제품 255 사이즈를 신고서 느꼈던건, 와 이건 딱맞는 사이즈의 축구화를 신는 밀착감인데? 이런 느낌이였다. 미즈노의 발가락을 모아주는 모렐리아 네오 2세대 제품을 신었던 느낌에, 발가락을 쫙 모아주면서, 발중간은 c로고의 인조가죽이 발을 쫙 잘 잡아주는 느낌이였다. 장점이 뛸때 신발의 일체감이 매우 자 느껴지는 제품이였다. c3와 a005에 비해서는 무조건 이 제품의 강점은 발과 축구화의 완벽한 핏을 위한 구현이라는 장점이 있는 것 같다. c3는 보편적인 편함과 대중적으로 신어서 불편한 면이 전혀 없기 때문에 무조건 범용성에서 나는 탑 티어를 주고 싶다. 하지만 본인의 발에 밀착되는 감각을 느끼기 위해서는 현재 나온 터프화 중에서 캐피턴이 가장 훌륭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내가 신고 있는 보라트2TF화도 저런 느낌은 아니다. 발가락 부분을 편하게 해주는 느낌이라서 완전히 반대되는 착화감이 느껴진다. 

 

아웃솔과 미드솔은 적절한 강도와 안정감을 잘 유지하고 있고, 이건 보편적으로 정말 필요한 부분을 잘 설계 했다. 인조잔디라는 특성에서 필요한 부분의 쿠셔닝을 제공하고, 발가락 부분만 유연하게 휘어지고, 판매된 제품에서는 중간 부분은 아웃솔의 강도를 높게 설계해서 잘 휘어지지 않게 만들어서 피로도와 안정성을 확실하게 줄인것 같다. 판매전 테스트 제품에서는 너무 아웃솔이 부드러워서 제품 안정성 즉 움직일 때 발을 고정 시켜주는 느낌이 떨어진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그런 부분이 보완되서 나와서 흡족스럽다. 아솔의 부드러움은 c3가 더 뛰어나다.

 

뒷꿈치의 힐컵의 보강도 하나 가죽을 덧댐으로서 발을 신고 끈을 묶었을 때 안정감이 꽤 높고, 발을 잘 잡아주는 느낌의 홀드감을 잘 형성해서 제품이 착화감을 높여준다.전체적으로 착화감을 높여주고 발에 충격을 줄여주는 하나의 포인트는 충분하고 푹신한 느낌을 주는 패딩이 가득 들어가 있는것이 제품을 신고 슈팅을 하고 발에 꽉 맞게 조였을 때도 발과 신발의 말착감을 높여주는 요소다. 

 

개인적으로 아쉬었던 두가지는 발가락을 전체적으로 몰아 잡아서 밀착 시키다 보니까, 아웃솔의 그립이 땅에 닿을 특정한 발 가운데쪽에 집중되어서 발에 전체적인 무게가 분산이 잘 안된다는 느낌인데, 이건 발 전체를 이용하는 풋살에서 풋살화 느낌이 아니라서 좀 다른것 같다. 아마도 이건 데스포르치랑 아주 반대되는 핏 같아서 풋살을 하시는 분들에게는 딱맞게 신는다면 이질적인 느낌으로 다가올것 같다. 미즈노 처럼 발 전체를 확 밀착 시켜서 착화감,사용감을 높이고자 하는 사용자는 좋을 것 같다. 내 발에는 발목 부분에서 약간의 밀착감이 떨어지는 것을 느껴서, 사용자에 따라서는 발목 부분의 밀착감이 좀 떨어진다고 느낄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시제품과 다르게 발 안쪽 뒷꿈치의 소재가 스웨드가 아닌 천을 사용해서 제품을 마무리 했다. 무게 때문이 아닐까? 라고 생각을 해보긴 했는데, 그거 바꿨다고, 얼마나 달라 질라고.. 아마도 단가 맞추기가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옛날 방식의 축구화를 그대로 잘 가져다 쓰면서 현대적으로 필요한 부분이 기능적인 요소를 잘 조합했다.

좋은 터프화 임에는 분명하다. 개인적으로는 a005 보다는 훨씬 낫다고 생각한다. 단지 핏의 선호 유무가 제품을 구매하는데 있어서 결정요소가 되지 않을까? 싶다.

 

반응형
반응형

 

보라트2 스터드 제품을 보고서는 정말 잘 만들었다고 생각을 하고 있었다.

1의 터프화는 앞에 천연가죽만 쓰고 중간 가죽이 형편없었다, 거기에 특별할만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전혀 없었다.

2 TF화에 들어서는 완전한 변신을 했다. 내 기준에서는 현재 1티어 터프화, 좋은 제품이라고 말하는 부분은 가성비라고 말을 할텐데, 싼데 어느정도 기능을 해서 가성비라고 말하는게 아니라, 잘만들었는데 가격도 싸서 좋은 제품이다. 

 

업퍼의 디자인과 소재 사용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발가락 앞부분의 천연가죽을 제외한 발목과 발등 부분에서 발을 꽉 잘잡아준다. 가운데 인조 피혁도 부드럽고 착화감이 좋다. 뒷꿈치 경우 뒷꿈치 양쪽으로 외부형 힐카운트를 추가로 부착해서 발을 잘 고정 시켜줄수 있게 설계되어있다.

발가락 앞 부분은 미즈노와는 반대의 느낌이다. 발가락이 완전 편안한 느낌을 준다. 개인적으로 느낌이 비슷한 제품을 찾는다면 C3가 가장 비슷하지 않을까? 싶다.

 

인솔은 BMZ 인솔로 발목의 압방골? 발목과 발을 연결시키는 뼈 부분의 충격을 완화 시켜주기 위한 솔루션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엄청나게 다른 부분이 아니라, 인솔 밀도와 구조적인 부분의 조정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특정 부분의 충격을 줄여주기 위한 사용으로 쓰인 것 같다.

인솔을 착용하고 신발을 신으면 발 안쪽이 불룩하고 약간 솟아나있는 느낌을 받는다. 이게 구조적으로 그 부위에 전해지는 충격을 줄여주고, 안정적으로 발 전체에 충격을 흡수 할 수 있게 해준다. 아웃솔과 미드솔의 단단함을 생각할 때 이런 타입의 인솔의 선택은 확실히 좋은것 같다. 

처음에는 이런 구조가 발에 익숙하지 않아서, 거부감이 좀 들수 있다. 안쓰는 근육이 쓰이니 그런듯해 보인다.

 

마지막으로 인솔과 아웃솔 타입은 확실히 이게 뉴타입의 인조잔디 터프화라는 생각이 들게 한다. 전체적으로 유연함 보다는 견고함과 함께 발 바닥전체에 하나로 연결된 하나의 뼈대가 있는 느낌이다. 중족부는 견고하게 발 앞 쪽은 부드럽지만 탄력성을 지니고 있다. 이 설계 자체가 프레임을 넣어서 발 전체에 대한 피로도를 줄이기 위한 의도로 본이다. 하루 테스트하고 기회가 생겨 풋살할 때 신어보니, 그립-접지력이 굉장히 좋다. 터프화 수준이 아니라 스터드 있는 축구화 같이 느껴저서 적응하는데 잠깐 시간을 거쳐야 했다. 과그립이 생겨서 씹히는 느낌이라 뛰는 방식에서 좀 속도를 줄이고 발이 땅에 닿는 느낌을 조절해야했다. 

 

현시간부로 1티어 터프화에 속하겠다. 무엇보다도 최근의 일본 브랜드들의 눈에 띄는 점중에 하나는 변화된 환경 인조잔디에 대한 사용자들을 파악하고 거기에 맞는 제품을 만들어내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는다. 옆나라에 있어서 제품을 쉽게 구할수 있다는 장점이 우리도 인조잔디를 사용하는 입장에서 굉장히 좋은 것 같다. 제품이 잘 만들었고, 가격도 나쁘지 않고, 거기에 새로운 타입이 인조잔디 터프화라 할 수 있어서 굉장히 터프화 제품 라인에서 길이 남을 것 같다. 뭐 내 터프화 경험에서는 그리 기록되어 버렸다. 전체적으로 착화감은 스터드 있는 축구화 보라트2의 완벽한 인조잔디형 터프화로서 이식이 아닐까?

 

반응형

+ Recent posts